
공모주 투자에서 큰 수익을 기대했던 많은 투자자들의 기대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직접 경험해보니 최근 상장한 대부분의 공모주들이 공모가조차 지키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며 투자 심리가 얼어붙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시기에 새롭게 선보이는 쓰리빌리언 공모주에 대한 분석을 통해 투자 가치를 판단해보고자 하는 느낌이 듭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쓰리빌리언 공모주 공모가 수요예측 의무보유확약 청약일 상장일 투자 전망 정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쓰리빌리언 공모주 기업 분석

쓰리빌리언은 희귀유전질환 진단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시킨 혁신적인 의료 진단 기업입니다. 유전체 분석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데이터를 AI 기술로 자동 분석하는 독자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꾸준히 입지를 넓혀가고 있으며, 60여 개국 400개 이상의 의료기관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수출이 전체 매출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재무적인 측면에서는 매출액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5억 원 규모였던 매출이 2023년에는 27억 원까지 증가했으며, 2024년 상반기에만 22억 원을 달성하며 성장 잠재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바이오 기업의 특성상 연구개발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60억 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점은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쓰리빌리언 공모주 수요예측 경쟁률 결과 공모가

구분 | 내용 |
---|---|
기관경쟁률 | 254.59:1 |
참여기관 수 | 809개 |
공모희망가 | 4,500원 ~ 6,500원 |
확정공모가 | 4,500원 |
시가총액 | 1,415억 원 |
기관투자자들의 관심도를 나타내는 수요예측 결과는 매우 부진한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에 진행된 64개의 공모주 중 하위권인 56번째를 기록했다는 점이 우려됩니다.

특히 청약 신청금액이 2.6조 원에 그쳐 올해 평균인 20.5조 원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점은 기관투자자들의 낮은 관심도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쓰리빌리언 공모주 의무보유확약비율 및 유통가능비율

구분 | 비율 |
---|---|
의무보유확약 | 0.93% |
상장일 유통가능비율 | 32.9% |
기존주주 보유비율 | 70.6% |
의무보유확약비율은 1%에도 미치지 못하는 0.93%를 기록했습니다. 2024년 평균인 7.4%와 비교하면 기관투자자들의 확신이 부족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상장 후 유통가능물량이 465억 원 규모이며, 특히 기존주주들이 7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수급 측면에서 불안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쓰리빌리언 공모주 청약일 상장일 일정

구분 | 내용 |
---|---|
청약일 | 2024.11.5(화) ~ 11.6(수) |
환불일 | 2024.11.8(금) |
상장일 | 2024.11.14(목) |
주관증권사 | 한국투자증권 |
공모가 | 4,500원 |
최소청약 | 50주 |
최소청약증거금 | 112,500원 |
청약수수료 | 2,000원 |
최소 청약신청 자금 | 114,500원 |
쓰리빌리언 공모주 투자 전망
공모주 시장의 전반적인 침체기에 더해 부진한 수요예측 결과는 상장 초반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바이오 업종의 특성상 실적보다는 기대감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현재와 같은 보수적인 시장 분위기에서는 상장 초기 강세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환매청구권이 없는 상황에서 기존주주들의 높은 지분율은 상장 후 매도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 투자에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요약정리
구분 | 내용 |
---|---|
업종 | AI 기반 희귀유전질환 진단 검사 |
기관경쟁률 | 254.59:1 |
의무보유확약 | 0.93% |
공모가 | 4,500원 |
시가총액 | 1,415억 원 |
상장일 | 2024.11.14 |
결론
현재의 공모주 시장 침체와 쓰리빌리언의 저조한 수요예측 결과를 고려할 때, 투자자들은 매우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기업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은 인정되나, 지속적인 적자와 높은 기존주주 지분율은 단기적인 주가 상승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쓰리빌리언 공모주 투자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심도 있게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최근댓글